부산패션센터   english   중국어  
     BFC News
BFC News
Trend & Market
기술경영정보
전시/행사
오늘의기업/인물
Power networking
BFC collection
creative zone
보도자료
패션영상
     섬유스트림
원 사
직 물
염 색
의 류
친환경염색/산업용섬유
인프라
채용/교육정보
     지식IN
국내패션
해외패션
마케팅
     BBS
BFC 커뮤니티
     삶의여유
패션이슈
웰빙
문화
열린세상
> 섬유스트림 > 친환경염색/산업용섬유
  인쇄하기 인쇄하기
세탁 후에도 끄떡없는 발열 의류 기술
기사입력 2018-02-21 오전 9:16:00 | 작성자 bfc |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발열의류기술을 기반으로 한 직조과정     © TIN뉴스

세탁 후에도 성능이 유지되는 발열 의류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이동윤 책임연구원팀은 최근 고효율 금속섬유전극 직조 유연 면상발열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통 직조형 유연 태양전지 개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해 유연성이 매우 높으면서도 열 흐름이 제어돼 매우 안전한 웨어러블(wearable) 섬유발열체 개발에 성공했다. 50마이크로미터(μm)급의 미세 스테인리스강 섬유와 바잘트(현무암 섬유)로 천을 짜서 만들고, 이 천에 특수 폴리머나 세라믹 소재를 첨가해 새로운 발열 옷감을 제작했다. 발열체를 금속섬유와 세라믹섬유를 이용해 직조하는 기술은 국내외에서는 처음이다.

 

기존 발열 제품, 특히 흔히 사용하는 열선(선상발열) 제품의 경우 충격을 가하면 열 과부하 현상이나 열선이 끊어지는 위험이 있다. 반면 개발된 금속섬유 발열체는 매우 질기고 유연성이 높아 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옷감에 구김이 있어도 발열체 선이 끊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 발열체의 일부가 손상을 입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물 노출이나 세탁에도 발열특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 기술로 제작된 발열 의류는 발열체의 탈부착 없이 바로 물세탁과 다림질을 할 수 있다. 열 흐름 제어로 이상 발열에 의한 화재나 화상의 위험도 없다.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 섬유가 모두 고르게 발열해 열효율이 뛰어나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제품 설계에 따라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로도 8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개발된 금속섬유 발열체는 옷감과 마찬가지로 재봉과 재단이 가능하다. 또 사용 환경과 응용 대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패턴(무늬)을 적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의류뿐 아니라 난방용, 의료용, 자동차용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 해당 기술을 창민테크론에 이전해 양산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윤 책임연구원은 “기존 발열 의류는 세탁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세탁이 반복될수록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금속섬유 발열체로 만든 발열 의류는 가혹한 조건에서 세탁해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된다”며 “이물질이 많이 묻어 반복 세탁이 필요한 야외 노동용 안전복과 발열 파카, 헬멧, 장갑 외 발열기능이 들어가는 각종 스마트웨어에 다양하게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자료출처 : tinnews 바로가기 

첨부파일#1 : 2018-02-21 09;16;48.jpg
 
  의견쓰기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을 해주세요.)
  현재 /300byte (한글 150자, 영문 300자)   
 
▲ 이전글   “대장균으로 깊이있는 인디고 청바지를”
▼ 다음글   ‘나노섬유 제작용 전기방사 기술’ 국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