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패션센터   english   중국어  
     BFC News
BFC News
Trend & Market
기술경영정보
전시/행사
오늘의기업/인물
Power networking
BFC collection
creative zone
보도자료
패션영상
     섬유스트림
원 사
직 물
염 색
의 류
친환경염색/산업용섬유
인프라
채용/교육정보
     지식IN
국내패션
해외패션
마케팅
     BBS
BFC 커뮤니티
     삶의여유
패션이슈
웰빙
문화
열린세상
> BFC News > BFC News
  인쇄하기 인쇄하기
섬유中企 제조업 59% “납품단가 불만족”
기사입력 2014-06-10 오전 8:58:00 | 작성자 bfc |
섬유의류 제조업체 중 59%가 현 납품단가에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5월 2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대기업 협력 중소제조업체 3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4월 중소제조업의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다. 전체 중소업체 중 현재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61.7%로 이는 지난해 대비 약 7.7% 증가된 수치다. 납품단가에 대한 중소기업의 불만이 계속 더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12년 기준으로 최근 2년과 비교해 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5.7~9.0% 증가한 반면 납품단가는 0.4~0.8%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번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섬유․의류 업종에서는 납품단가 적정성 여부에 대해 59.0%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적정하다(33.3%) △매우 적정하지 않다(5.1%) △매우 적정하다(2.6%)는 순으로 답했다.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로는 ‘치열한 가격경쟁 납품가격 인하 불가피’가 44.0%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분 반영되었으나 가격인상 충분치 않음(28.0%) △원자재 상승요인 있었으나 가격인상 감액(16.0%) 순이다. 특히 적정단가 인상률은 평균 10.9%로 답했다.

원재료가격 인상으로 인해 원사업자에 납품단가 인상요청을 시도한 업체가 39.8%로 전체 업종 평균 수용비율 53.8%에도 못 미쳤다. 또한 일부 수용은 47.6%, 합의도출 실패 33.3% 순으로 조사됐다. 납품단가 평균 일수는 61.9일, 30~60일 이내가 50%를 차지했다.

원사업자 거래상에게 바라는 점으로는 33.3%로 ‘납품단가 제값 받기’를 꼽았다. 이어 △납품대금의 신속한 현금결제(28.2%) △일정기간 일감 보장(20.5%)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대금 감액금지(12.8%) 순으로 응답했다. 아울러 납품단가의 제값을 받기 위해 정부에 바라는 대책으로는 46.2%가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최우선 사항으로 꼽았다. 이어 △원자재 공동구매 지원 확대(20.5%) △주기적인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15.4%) △납품단가 후려치기 처벌 강화(10.3%)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섬유․의류업체의 경우주요 거래업체와의 평균 거래기간은 평균 11.5년으로 조사됐다. 주요 납품처는 대기업 31.9%, 중견기업 8.3%, 중소기업 44.6%, 공공기관 0.9%, 기타 14.4%로 중소기업 거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제조원가 인상요인,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인상

섬유․의류 업종이 꼽은 제조원가 인상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인상’ 44.0%, ‘인건비 인상’ 44.0%로 가장 높았다. ‘전력․가스․수도비 등 생산비 인상’ 8.0%, ‘운반․하역․포장․보관비 증대’ 4.0% 순이다. ‘임차료 및 경상개발비’ 등은 0%다. 특히 노동집약산업인 섬유․의류 업종에서 ‘인건비 인상’이 다른 업종(평균 37.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섬유․의류업종의 대처 방안은 원가절감이 65.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인력감축(30.4%)’, ‘원자재 구입 거래처 다변화(21.7%)’, ‘원자재 공동구매(13.0%)’, ‘제품 가격 인상(8.7%)’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협력거래단계가 높은 ‘3차거래’의 중소제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원가절감 한다’는 응답이 76.5%로 가장 높았다. 납품단가 변동 현황은 2012년을 100으로 했을 때 2013년 납품 단가는 101.3%로 약 1.3% 증가했고, 2014년 4월 99.2%로 다소 감소했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동반성장실장은 “그간 경제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 납품단가 현실화는 여전히 미흡하다”며 “중소기업의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료출처 : tinnews
첨부파일#1 : 2014-06-10 08;58;43.jpg
 
  의견쓰기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을 해주세요.)
  현재 /300byte (한글 150자, 영문 300자)   
 
▲ 이전글   섬산련,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계획 재검토” 촉구
▼ 다음글   부산 - 창조경제시대 섬유산업 활성화 세미나